식용유 기름 종류별 불포화지방산 오메가3 오메가6 비율 총정리

여러 식용유의 지방산 구성을 정리해보았다. 각 기름마다 포화지방과 불포화지방의 비율, 그리고 오메가-3와 오메가-6의 함량 및 비율을 확인하면 건강에 맞는 기름을 선택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기름종류별 지방산 구성 비교표

기름 종류포화지방다중불포화
(PUFA)
단일불포화
(MUFA)
오메가-3오메가-6오메가-6:-3
올리브유1410730.79.814:1
해바라기유106520065
카놀라유728639192.1:1
참기름1545400.345150:1
아마씨유9671953140.26:1
옥수수유13552815454:1
호두유9622310525.2:1
아보카도유12147011313:1
코코넛유922.7602.7
팜유529.83809.8
마카다미아유161.7590.21.57.5:1
들기름14681454140.26:1
생선기름3030-361030-350-10.03:1
ghee(기)654250.53.57:1
아몬드유81770017
포도씨유1070160.169.9699:1
땅콩유173246032
쌀겨유2035451.633.421:1
무정제 버터683280.42.66.5:1

이중에 무슨 기름을 써야할까?

그냥 먹을 때 >>> 오메가6 : 오메가3 비율이 낮은 것, 이를테면 카놀라유, 호두유 이런게 좋다. 샐러드랑 먹는 등 생으로 먹을 때.

가열 요리 시 >>> 다중불포화 지방산은 고온가열시 트랜스지방으로 변할 수 있어서 이 때는 단일불포화지방산 함량이 높은걸로 한다. 엑스트라 버진 올리브유, 아보카도유, 마카다미아유 등이 표에서 그렇게 보인다.

오메가3 섭취목적 >>> 오메가3만 많이 보충하고 싶다면 압도적으로 함량이 많은게 아마씨유, 들기름, 생선기름 같은 종류다. (오메가3 영양제가 그래서 생선 기름으로 만드는 거지)

지방 종류별 특징

포화지방(Saturated Fat)

  • 실온에서 고체 상태인 경우가 많음
  • 열에 안정적이어서 고온 요리에 적합
  • 과도한 섭취는 심혈관 질환 위험 증가 가능성

단일불포화지방(MUFA)

  • 심장 건강에 도움
  • 올리브유, 아보카도유가 대표적
  • 중저온 조리에 적합

다중불포화지방(PUFA)

  • 필수 지방산 포함
  • 오메가-3와 오메가-6로 구분
  • 열에 약해 고온 조리에 부적합

오메가-3와 오메가-6 균형의 중요성

현대 식단에서는 오메가-6 섭취가 과도한 경향이 있다. 이상적인 오메가-6:오메가-3 비율은 4:1 이하로 알려져 있으나, 현대인의 식단은 15:1에서 심지어 20:1까지 올라가는 경우가 많다.

이런 오메가6 불균형에 의해 만성 염증, 심혈관질환, 자가면역질환 위험을 높일 수 있다.

기름별 활용 팁

오메가-3 풍부한 기름 (아마씨유, 들기름, 생선기름)

  • 열처리하지 않고 찬 음식에 활용
  • 샐러드 드레싱이나 완성된 요리에 뿌려 먹기

올리브유, 아보카도유

  • 중저온 조리(170℃ 이하)에 적합
  • 풍미가 좋아 생으로 드레싱에도 활용 가능

고온 조리용 기름 (코코넛유, 기, 버터)

  • 포화지방 함량이 높아 열안정성이 좋음
  • 고온 볶음, 튀김에 적합

균형 잡힌 오메가-3:오메가-6 비율의 기름

  • 카놀라유(2.1:1), 호두유(5.2:1)
  • 건강한 식단 구성에 도움

건강한 식습관을 위해서는 한 가지 기름만 고집하기보다 용도에 맞게 다양한 기름을 적절히 활용하는 것이 좋다. 특히 오메가-3와 오메가-6의 균형을 고려한 기름 선택이 중요하며, 가열 조리법에 따라 적합한 기름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평점 0 / 5. 참여 0

Subscribe
Notify of
0 Comments
Most Voted
Newest Oldest
Inline Feedbacks
View all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