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글에서는 P-CAB계열 위식도치료제 케이캡정 원리와 부작용에 대해 알아본다. 국내에서 처음 개발된 P-CAB (칼륨 경쟁적 위산분비 차단제) 계열 신약인 케이캡정은 위식도 역류 질환의 치료에서 위산분비 억제라는 새로운 접근법을 제시한 전문의약품이다.
케이캡정 소개
HK이노엔이 개발한 케이캡정은 테고프라잔을 주성분으로 하는 위산분비 억제제다.
2019년 3월 국내 시장에 출시된 이 약제는 기존 PPI 계열과 완전히 다른 화합물 구조와 작용기전을 가진 신약이다. 연한 분홍색 비대칭 삼각형 형태의 50mg 필름코팅정으로 제공된다.
제품의 기본 특성은 다음과 같다.
- 핵심성분 : 테고프라잔 50mg 함유
- 개발사 : HK이노엔 제약연구소
- 제형특징 : 필름코팅 기술 적용
- 투여경로 : 경구 복용
- 외형구조 : 연분홍색 비대칭 삼각형태
- 보관기준 : 기밀용기에 실온 보관
- 약품분류 : 소화성궤양용제 232군
효능과 효과
케이캡정의 주요 작용기전은 위벽 세포의 프로톤 펌프에 있는 칼륨 이온과 경쟁적으로 결합하여 위산 분비를 차단하는 것이다.
이러한 작용은 기존 PPI 계열 약물과 달리 산성 환경에서의 활성화 과정이 필요 없어 보다 신속한 효과 발현이 가능하다.
이 약제는 다양한 위장 질환의 치료에 활용된다. 주된 적응증으로는 미란성 및 비미란성 위식도역류질환, 위궤양 치료가 있으며,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균 제균 요법에도 사용된다. 특히 CYP2C19 효소의 유전적 다형성에 영향을 받지 않아 환자 개인별 차이 없이 일관된 치료 효과를 보이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식사 시점과 무관하게 하루 한 번 복용으로 충분한 치료 효과를 나타낸다.
출시 이후 빠른 시장 안착을 이루어 연간 1000억 원 이상의 처방 실적을 기록하며 위식도역류질환 치료제 시장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현재는 추가적인 임상시험을 통해 적응증 확대를 진행하고 있다.
케이캡정은 국내 위장관 질환 치료제 시장에서 주목할 만한 성과를 보이고 있으며, 지속적인 임상 연구를 통해 치료 영역을 확대하고 있다. 특히 기존 치료제로 효과가 불충분했던 환자군에서의 치료 대안으로서 그 가치가 연구되고 있다.
임상시험 결과는 중등도 이상 환자에서도 효과적인 증상 개선을 보여주었으며, 장기 투여시의 안전성도 입증되었다. 약물 상호작용과 부작용 발현율에서도 양호한 프로필을 나타내어, 다양한 환자군에서 활용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용법과 투여 기준
- 미란성 위식도역류질환 치료 : 1일 1회 50mg씩 4주간 투여하며, 증상 미호전시 4주 추가 투여 가능
- 비미란성 위식도역류질환 관리 : 1일 1회 50mg을 4주간 투여
- 위궤양 치료 : 1일 1회 50mg을 8주간 지속 투여
- 투약 시점 : 식사 시간과 무관하게 복용 가능
보관과 취급 관리
- 기밀용기에 담아 실온(1-30℃) 조건에서 보관
- 빛과 습기에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
- 어린이 접근이 제한된 장소에서 보관
부작용과 주의사항
중증도 | 발현 증상 | 대응 방안 |
---|---|---|
경도 | 구역, 설사, 소화불량 | 경과 관찰하며 지속시 의료진 상담 |
중등도 | 비인두염, 상기도감염 | 의료진과 상담 후 조치 |
중증 | 간기능 이상, 알레르기 반응 | 투약 즉시 중단 및 응급진료 |
특히 약물을 장기간 사용하는 경우 정기적으로 간기능 검사를 실시해 안전성을 확인해야 한다. 2023년 실시된 임상연구에서는 타 위산억제제와 비교했을 때 위장관계 부작용 발생 빈도가 더 낮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투여 제한 대상
다음과 같은 환자는 투여가 제한된다.
- 아타자나비르, 넬피나비르, 릴피비린 함유제제 복용 중인 환자
- 이 약의 성분에 과민반응이 있는 환자
- 임신 중이거나 수유 중인 여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