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라는 중국어 마라(麻辣)에서 유래한 말로 ‘혀가 저릴 정도로 맵다’는 의미를 가진다. 중국 쓰촨성의 대표적인 맛으로, 얼얼하면서 매운맛을 특징으로 한다.
마라의 주요 맛은 초피(화자오)와 고추를 기본으로 한다. 이 맛을 내기 위해 초피, 후추, 팔각, 정향, 회향 등의 향신료로 기름을 내고 두반장과 고추가루를 더해 완성한다.
마라는 단순한 매운맛이 아닌 복합적인 향신료의 조화로 만들어진다. 그 중 초피가 주는 얼얼한 감각이 마라의 핵심이다.
마라 라는게 어떤 향신료나 열마를 말하는게 아니라 맛의 종류를 일컫는 것이고, 마라의 맛을 내기 위한 향신료들이 있다는 소리다.
산초와 초피의 구분
산초와 초피는 같은 운향과에 속하지만 서로 다른 식물이다. 산초는 중부지방에서 주로 자라며 줄기의 가시가 어긋나게 난다.
초피는 남부지방과 해안가에 자생하며 줄기에 가시가 마주 난다. 초피가 산초보다 더 강한 매운맛을 지니고 있어 향신료로 더 널리 사용된다.
우리가 흔히 산초가루라고 부르는 것은 실제로는 초피나무의 열매껍질을 가루 낸 것이다. >>> 추어탕에 넣어서 먹는게 대표적이다!!! 산초는 주로 기름을 짜서 식용이나 약용으로 사용된다.
초피의 호칭차이
- 한국에서는 : 초피, 제피, 젠피 등으로 부름
- 중국 : 화자오, 촉초, 천초 등으로 부름
- 일본 : 산쇼로 지칭
마라요리에 들어가는 향신료
마라요리에서 사용되는 주요 향신료는 화자오(초피)다. 화자오는 중국, 티베트, 네팔, 인도 요리에서 널리 사용되는 향신료로 쓰촨 페퍼로도 불린다.
마라 소스는 화자오를 포함한 여러 향신료를 기름에 볶아 만든다. 이때 두반장과 고추가루를 더해 매운맛을 강화한다.
이러한 복합적인 향신료의 조합이 마라탕이나 마라샹궈와 같은 요리의 특징적인 맛을 만들어낸다. 각 향신료의 차이점은 다음과 같다.
구분 | 산초 | 화자오(초피) |
---|---|---|
주요 용도 | 기름 추출 | 마라 향신료 |
매운맛 정도 | 약함 | 매우 강함 |
주요 산지 | 중부지방 | 중국 쓰촨성 |
특히 청 화자오라고 하는 좀 더 알싸함이 강한 종류가 있는데 이걸 마자오라고 부른다. 훠궈나 마라샹궈 같은거 먹을 때 보면 고동색의 동그란 알갱이 같은게 들어간 것을 볼 수 있는데 이게 바로 ‘얼얼함’을 담당하는 즉 마라에서 마를 맡고 있는 주인공 마자오 되시겠다.
산초와 초피의 효능
산초나무의 줄기와 잎 추출물은 항염작용이 뛰어나 아토피성 피부염 치료에 도움이 된다. 또한 기침 완화와 천식 증상 개선에도 효과가 있다.
초피는 전통적으로 생선요리의 비린내를 제거하는데 사용되었다. 고추가 들어오기 전에는 김장할 때 매운맛을 내기 위해 사용되기도 했다.
두 식물 모두 항균효과가 우수하며 소화를 돕고 신진대사를 촉진하는 효과가 있다.
현대 요리에서의 인기
마라는 현재 전 세계적으로 인기 있는 맛으로 자리잡았다. 특히 마라탕, 마라샹궈와 같은 중국 요리를 통해 널리 알려졌다. 요즘은 떡볶이처럼 마라탕집이 한국에서도 대중화되었다.
한국에서는 전통적으로 추어탕이나 매운탕에 초피가루를 넣어 먹는 문화가 있는데 최근에는 마라맛 과자나 라면 등 다양한 가공식품에도 응용되고 있다.
마라 향신료는 요리의 풍미를 높이는 동시에 건강에도 도움이 되어 그 활용도가 계속 확대되고 있다.
주의사항
마라 향신료는 소량으로도 강한 맛을 내기 때문에 적정량 사용이 중요하다. 처음 사용할 때는 소량부터 시작해 점차 양을 조절하는 것이 좋다.
보관 시에는 직사광선을 피하고 건조하고 서늘한 곳에 보관해야 한다. 특히 분말 형태의 경우 습기에 취약하므로 밀폐용기 사용이 필수적이다.
빈속에 마라 요리를 먹는 것은 피하는 것이 좋다. 위장 점막을 자극할 수 있으므로 반드시 식사와 함께 섭취해야 한다.
핵심 요약
- 마라는 중국 쓰촨성의 대표적인 맛으로 초피가 핵심 재료
- 산초와 초피는 다른 식물이며 초피가 더 강한 매운맛을 가짐
- 화자오는 마라요리의 필수 향신료로 쓰촨 페퍼로도 불림
- 모두 항염, 항균 효과가 있으며 소화를 돕는 효능 보유
- 적정량 사용과 올바른 보관이 중요